


- ‘엔데믹 시대,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2023년 전망과 대응방안 논의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ㆍ원장 김종덕)은 지난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3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올해 행사는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된 행사로서 해양수산부를 비롯하여 전국에서 총 25개 해양수산관련 단체가 후원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날 개회식에서 김종덕 KMI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엔데믹으로 들어서는 현재 해양수산 분야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물가상승, 유가 변동성 확대와 함께 국제통상 질서의 변화에 직면해 있다"며, "KMI의 예측에 따르면 2023년은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결과는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해양수산 분야 모든 분들의 지혜가 한자리에 모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환영사를 통해 "2023년 한해를 단단하고 든든한 신해양강국을 만드는데 해양수산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 전망대회가 해양수산 각 분야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여 보다 나은 해양강국을 만드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 해양수산 전망대회는 ‘엔데믹 시대,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총괄세션과 3개의 분야별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개회식 직후 이어진 총괄세션에서는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장의 ‘2023년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과 최상희 KMI 연구부원장의 ‘2023년 해양수산 전망’ 기조발표가 진행되었다. 이후 3시부터는 해운·항만·물류, 수산·어촌, 해양 등 3개의 분야별 세션이 이어졌다. 각 세션에서는 분야별 전망을 담은 주제발표와 함께 2023년 핵심이슈 관련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되었다.
<사진 촬영 이일우 부장>
- ‘엔데믹 시대,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2023년 전망과 대응방안 논의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ㆍ원장 김종덕)은 지난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3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올해 행사는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된 행사로서 해양수산부를 비롯하여 전국에서 총 25개 해양수산관련 단체가 후원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날 개회식에서 김종덕 KMI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엔데믹으로 들어서는 현재 해양수산 분야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물가상승, 유가 변동성 확대와 함께 국제통상 질서의 변화에 직면해 있다"며, "KMI의 예측에 따르면 2023년은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결과는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해양수산 분야 모든 분들의 지혜가 한자리에 모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환영사를 통해 "2023년 한해를 단단하고 든든한 신해양강국을 만드는데 해양수산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 전망대회가 해양수산 각 분야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여 보다 나은 해양강국을 만드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 해양수산 전망대회는 ‘엔데믹 시대,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총괄세션과 3개의 분야별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개회식 직후 이어진 총괄세션에서는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장의 ‘2023년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과 최상희 KMI 연구부원장의 ‘2023년 해양수산 전망’ 기조발표가 진행되었다. 이후 3시부터는 해운·항만·물류, 수산·어촌, 해양 등 3개의 분야별 세션이 이어졌다. 각 세션에서는 분야별 전망을 담은 주제발표와 함께 2023년 핵심이슈 관련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되었다.
<사진 촬영 이일우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