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만기 부회장 “재생 에너지 분야는 미래 양국의 유망 협력 분야”
- “네팔, IT 인력 양성해 육지로만 이루어진 약점 보완해야”
- 네팔 투자청장 “한국과 제조, 농식품 가공, IT, 에너지 분야 협력 희망”
한국무역협회(KITA·회장 구자열)는 한-네팔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정만기 부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네팔 경제 사절단을 파견하고, 지난 8일 네팔 카트만두에서 ‘한-네팔 투자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진행된 한-네팔 정상회담 이후 양국 민간 경제 교류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었으며, 한국무역협회 정만기 부회장, 수실 바타(Sushil Bhatta) 네팔 투자청장, 박태영 주네팔 한국대사를 비롯한 양국 정부 인사 및 현지 진출 기업인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해 한-네팔 교역규모는 수교 이후 약 47배 증가하였고 우리 기업의 對네팔 투자도 지속 증가하는 등 양국 간 협력은 확대되어 왔다”r고 말했다. 그는 “네팔은 중국과 인도라는 광대한 시장을 인접한 지리적 이점, 3천만 명의 풍부한 인력, 히말라야 산맥 등의 관광 자원뿐만 아니라 6천 개가 넘는 강과 산지 지형을 활용한 수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면서 “특히, 올해 9월 남동발전이 첫 번째 네팔 민자 수력 발전소 건설 사업을 착공한 것을 비롯하여 재생 에너지 분야는 미래 양국의 유망 협력 분야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부회장은 “네팔이 인도의 경우처럼 고급 IT 소프트웨어 인력을 양성한다면 육지로만 이루어진 네팔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많은 한국 IT 소프트웨어 업계의 투자를 유치해갈 수 있을 것”이라며 “항공 운송이 가능한 안경, 캐시미어, 히말라야산 약재료 등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통해 네팔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태영 주네팔 한국대사는 환영사를 통해 “한국은 네팔의 해외직접투자 4위 국가로서 네팔 내 남동발전의 어퍼트리슐리-1 (UT-1)수력 발전소 건설, 삼성전자 TV 조립 제조 공장 가동 등 네팔의 인프라와 제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네팔 투자청과 함께 개최하는 금번 세미나를 통해 많은 한국 기업이 네팔의 투자 환경과 네팔 진출 우리 기업의 투자 사례를 잘 알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주네팔 한국 대사관에서도 우리 기업의 네팔 진출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 덧붙였다. 수실 바타(Sushil Bhatta) 네팔 투자청장은 개회사에서 “네팔은 제조, 농식품 가공, IT,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투자 유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풍부한 수력 자원을 바탕으로 재생 에너지 분야의 투자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국 기업들의 투자 확대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남동발전 윤대열 차장은 한-네팔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남동발전의 두 번째 해외 수력 발전 프로젝트인 UT-1 수력발전 건설 사업은 총사업비가 6억 4,700만 달러에 달하며 2026년 말 준공 후 30년간 직접 운영할 예정”이라면서 “이 사업은 발전 공기업과 국내 건설사가 네팔에 동반 진출한 성공적인 모델이자, 수력 발전이라는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중립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언급했다. 김기상 수출입은행 뉴델리지사장은 ‘EDCF를 통한 한-네팔 경제협력 방안’ 발표를 통해 “수출입은행은 1천만 달러의 경협 증진 자금을 네팔 수력 발전 사업에 지원한 바 있다”면서 “EDCF 지원 확대를 통해 한-네팔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 정만기 부회장 “재생 에너지 분야는 미래 양국의 유망 협력 분야”
- “네팔, IT 인력 양성해 육지로만 이루어진 약점 보완해야”
- 네팔 투자청장 “한국과 제조, 농식품 가공, IT, 에너지 분야 협력 희망”
한국무역협회(KITA·회장 구자열)는 한-네팔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정만기 부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네팔 경제 사절단을 파견하고, 지난 8일 네팔 카트만두에서 ‘한-네팔 투자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진행된 한-네팔 정상회담 이후 양국 민간 경제 교류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었으며, 한국무역협회 정만기 부회장, 수실 바타(Sushil Bhatta) 네팔 투자청장, 박태영 주네팔 한국대사를 비롯한 양국 정부 인사 및 현지 진출 기업인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해 한-네팔 교역규모는 수교 이후 약 47배 증가하였고 우리 기업의 對네팔 투자도 지속 증가하는 등 양국 간 협력은 확대되어 왔다”r고 말했다. 그는 “네팔은 중국과 인도라는 광대한 시장을 인접한 지리적 이점, 3천만 명의 풍부한 인력, 히말라야 산맥 등의 관광 자원뿐만 아니라 6천 개가 넘는 강과 산지 지형을 활용한 수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면서 “특히, 올해 9월 남동발전이 첫 번째 네팔 민자 수력 발전소 건설 사업을 착공한 것을 비롯하여 재생 에너지 분야는 미래 양국의 유망 협력 분야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부회장은 “네팔이 인도의 경우처럼 고급 IT 소프트웨어 인력을 양성한다면 육지로만 이루어진 네팔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많은 한국 IT 소프트웨어 업계의 투자를 유치해갈 수 있을 것”이라며 “항공 운송이 가능한 안경, 캐시미어, 히말라야산 약재료 등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통해 네팔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태영 주네팔 한국대사는 환영사를 통해 “한국은 네팔의 해외직접투자 4위 국가로서 네팔 내 남동발전의 어퍼트리슐리-1 (UT-1)수력 발전소 건설, 삼성전자 TV 조립 제조 공장 가동 등 네팔의 인프라와 제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네팔 투자청과 함께 개최하는 금번 세미나를 통해 많은 한국 기업이 네팔의 투자 환경과 네팔 진출 우리 기업의 투자 사례를 잘 알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주네팔 한국 대사관에서도 우리 기업의 네팔 진출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 덧붙였다. 수실 바타(Sushil Bhatta) 네팔 투자청장은 개회사에서 “네팔은 제조, 농식품 가공, IT,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투자 유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풍부한 수력 자원을 바탕으로 재생 에너지 분야의 투자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국 기업들의 투자 확대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남동발전 윤대열 차장은 한-네팔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남동발전의 두 번째 해외 수력 발전 프로젝트인 UT-1 수력발전 건설 사업은 총사업비가 6억 4,700만 달러에 달하며 2026년 말 준공 후 30년간 직접 운영할 예정”이라면서 “이 사업은 발전 공기업과 국내 건설사가 네팔에 동반 진출한 성공적인 모델이자, 수력 발전이라는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중립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언급했다. 김기상 수출입은행 뉴델리지사장은 ‘EDCF를 통한 한-네팔 경제협력 방안’ 발표를 통해 “수출입은행은 1천만 달러의 경협 증진 자금을 네팔 수력 발전 사업에 지원한 바 있다”면서 “EDCF 지원 확대를 통해 한-네팔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