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립 62년만의 쾌거…8천만톤 달성 시점 등록선박 G.FUTURE에 기념패 수여 -
한국선급(KR·회장 이형철)은 지난 10일 집계 기준으로 8,012만톤을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등록톤수 8천만톤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8천만톤 달성은 1962년 KR에 4,875톤(2척)이 최초로 등록된 이래 창립 62년만에 달성한 성과이다. 뿐 만 아니라 2020년 7천만톤 달성 이후, 2.5년 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1천만톤이 증가하며 올해 연말 목표인 8천만톤을 조기 달성하는 기록도 세웠다. KR은 지난 2019년 1억만톤 달성 목표를 담은「VISION 2025」발표 이후, 최근 3년간 약 5.72%의 등록선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전 보다 약 4.8배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온 바 있다.
8천만 톤 달성에 대해 KR 이형철 회장은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는 선급을 만들자는 기치로 신조 및 현존선 유치 활동을 적극 전해하였고, 이에 따른 영업 실적 호조가 등록톤수 증가의 주요 견인 역할을 하였다”고 밝혔다. KR에 따르면, 이같은 등록선대 증가는 최근 3년 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컨테이너선과 같은 신조 선박 유치 실적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부분이 주된 요인으로 알려졌다. 또한, 해외선주로부터 현존선(TOC) 영업 실적이 최근 3년 간 627만gt로 전체 현존선 실적의 63% 이상을 해외선주로 부터 유치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활동으로 인한 영업실적 호조가 8천만 톤 달성의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KR의 안전 제고 노력과 선박 검사 시스템의 디지털화 역시 8천만 톤 달성에 역할을 담당했다. 이형철 회장은 “꾸준한 등록선 안전 제고 노력과 검사시스템 디지털화로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노력이 많은 고객들의 신뢰를 얻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KR은 선체 구조 결함과 관련된 손상 분석, 선박별 쇠모(부식) 경향 자료 제공 등을 통해 등록선대의 잠재적인 해양사고 위험을 예방해왔으며, 이런 안전 제고 노력으로 Paris/Tokyo MOU 및 USCG 등 주요 PSC 실적에서 최상위등급(High Performance)을 유지할 수 있었다. 검사 시스템의 디지털화는 선박검사 신청에서 증서발급까지의 전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했으며, 특히 지난 4월 개소한 ‘통합검사지원센터(ISC)’의 출범으로 선박 빅데이터 기반으로 고객의 비상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KR은 ‘기술력이 KR의 미래’라는 목표 하에, 미래 기술력 확보의 노력과 고객 중심의 기술 서비스 제공에 진력해왔다. ▲대우조선해양(DSME) ▲롯데정밀화학-현대중공업-HMM ▲삼성중공업 등 세계 최고의 조선소 및 선사들과의 활발한 공동연구개발(JDP)로 디지털,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고, 고객 기술세미나 제공 등을 통해 조선소・선사와 최신 기술을 교류하고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등 KR의 높은 기술력을 세계 해사시장에 입증한 바 있다. 이런 기술력 확보 또한 8천만 톤 달성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KR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형철 KR 회장은 “8천만톤 달성은 KR의 헌신적인 고객 서비스와 적극적인 영업활동에 대해 고객들이 신뢰를 보내준 덕분”이며, “모든 임직원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 선주, 조선소와의 공고한 협력관계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밝히며 그간의 지지와 성원에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아울러, 이형철 회장은 8천만톤 달성에 머무르지 않고 1억톤 달성을 목표로 계속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형철 회장은 “8천만톤 달성이 쉽지는 않았지만, 원래 목표는 1억톤 달성이었다”면서, “해사 시장에서 높아지고 있는 KR의 신뢰도를 통해 해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한 우수인재 유치, 친환경・디지털 기술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여 수년 내에 등록선대 1억톤을 달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8천만톤 달성 시점 등록선박은 HMM 소속 153,841gt급 VLCC인 G. FUTURE호이다. KR 이형철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HMM 김규봉 해사총괄에게 G. FUTURE호에 대한 8천만톤 달성 기념패를 수여하고, 동 선박과 선원의 안전한 항해를 기원했다.

<현장 취재 이일우 부장>
- 창립 62년만의 쾌거…8천만톤 달성 시점 등록선박 G.FUTURE에 기념패 수여 -
한국선급(KR·회장 이형철)은 지난 10일 집계 기준으로 8,012만톤을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등록톤수 8천만톤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8천만톤 달성은 1962년 KR에 4,875톤(2척)이 최초로 등록된 이래 창립 62년만에 달성한 성과이다. 뿐 만 아니라 2020년 7천만톤 달성 이후, 2.5년 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1천만톤이 증가하며 올해 연말 목표인 8천만톤을 조기 달성하는 기록도 세웠다. KR은 지난 2019년 1억만톤 달성 목표를 담은「VISION 2025」발표 이후, 최근 3년간 약 5.72%의 등록선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전 보다 약 4.8배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온 바 있다.
8천만 톤 달성에 대해 KR 이형철 회장은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는 선급을 만들자는 기치로 신조 및 현존선 유치 활동을 적극 전해하였고, 이에 따른 영업 실적 호조가 등록톤수 증가의 주요 견인 역할을 하였다”고 밝혔다. KR에 따르면, 이같은 등록선대 증가는 최근 3년 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컨테이너선과 같은 신조 선박 유치 실적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부분이 주된 요인으로 알려졌다. 또한, 해외선주로부터 현존선(TOC) 영업 실적이 최근 3년 간 627만gt로 전체 현존선 실적의 63% 이상을 해외선주로 부터 유치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활동으로 인한 영업실적 호조가 8천만 톤 달성의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KR의 안전 제고 노력과 선박 검사 시스템의 디지털화 역시 8천만 톤 달성에 역할을 담당했다. 이형철 회장은 “꾸준한 등록선 안전 제고 노력과 검사시스템 디지털화로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노력이 많은 고객들의 신뢰를 얻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KR은 선체 구조 결함과 관련된 손상 분석, 선박별 쇠모(부식) 경향 자료 제공 등을 통해 등록선대의 잠재적인 해양사고 위험을 예방해왔으며, 이런 안전 제고 노력으로 Paris/Tokyo MOU 및 USCG 등 주요 PSC 실적에서 최상위등급(High Performance)을 유지할 수 있었다. 검사 시스템의 디지털화는 선박검사 신청에서 증서발급까지의 전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했으며, 특히 지난 4월 개소한 ‘통합검사지원센터(ISC)’의 출범으로 선박 빅데이터 기반으로 고객의 비상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KR은 ‘기술력이 KR의 미래’라는 목표 하에, 미래 기술력 확보의 노력과 고객 중심의 기술 서비스 제공에 진력해왔다. ▲대우조선해양(DSME) ▲롯데정밀화학-현대중공업-HMM ▲삼성중공업 등 세계 최고의 조선소 및 선사들과의 활발한 공동연구개발(JDP)로 디지털,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고, 고객 기술세미나 제공 등을 통해 조선소・선사와 최신 기술을 교류하고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등 KR의 높은 기술력을 세계 해사시장에 입증한 바 있다. 이런 기술력 확보 또한 8천만 톤 달성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KR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형철 KR 회장은 “8천만톤 달성은 KR의 헌신적인 고객 서비스와 적극적인 영업활동에 대해 고객들이 신뢰를 보내준 덕분”이며, “모든 임직원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 선주, 조선소와의 공고한 협력관계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밝히며 그간의 지지와 성원에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아울러, 이형철 회장은 8천만톤 달성에 머무르지 않고 1억톤 달성을 목표로 계속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형철 회장은 “8천만톤 달성이 쉽지는 않았지만, 원래 목표는 1억톤 달성이었다”면서, “해사 시장에서 높아지고 있는 KR의 신뢰도를 통해 해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한 우수인재 유치, 친환경・디지털 기술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여 수년 내에 등록선대 1억톤을 달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8천만톤 달성 시점 등록선박은 HMM 소속 153,841gt급 VLCC인 G. FUTURE호이다. KR 이형철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HMM 김규봉 해사총괄에게 G. FUTURE호에 대한 8천만톤 달성 기념패를 수여하고, 동 선박과 선원의 안전한 항해를 기원했다.
<현장 취재 이일우 부장>